[스타트업 마케팅]지배적 디자인과 수익체증, 네트워크 외부성

2023-04-25

지배적 디자인과 수익체증, 네트워크 외부성 





네트워크 외부성이란?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그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에 의존하며,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네트워크 외부성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 수가 증가할수록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치가 증가하는 경제 현상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외부성은 주로 상품의 수요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경우 사용자가 많을수록 해당 서비스가 더욱 가치있어지므로, 새로운 사용자들이 더 많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기존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사용자들이 더욱 많이 참여하게 되는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positive feedback loop)를 형성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외부성은 기존의 대규모 시장 지배자들이 새로운 시장 진입자들에 대해 강력한 경쟁 장벽을 형성할 수 있게 합니다. 대규모 시장 지배자들은 이미 많은 고객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시장 진입자들이 그들의 경쟁자가 될 수 없도록 막을 수 있습니다.





지배적 디자인과 네트워크 외부성의 관계는?


지배적 디자인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서로 긴밀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는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외부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 외부성이 증가하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더 많은 수의 사용자를 보유하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가로 출시할 때 시장에서 좀 더 강력한 입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배적 디자인은 특히 네트워크 외부성이 높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배적 디자인과 경로 의존성의 관계


지배적 디자인은 경로의존성과 깊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경로의존성이란, 어떤 산업에서 초기에 사용되는 제품 디자인이 나중에 이 산업에서 지배적인 디자인으로 자리 잡게 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초기에 디자인이 선택될 때 그 디자인에 대한 경험이나 기술이 축적되고, 경쟁 업체들은 이 경험과 기술을 따라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경로의존성은 네트워크 외부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초기의 디자인 선택은 수용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며, 그 디자인이 수용되면 이를 기반으로 생산, 유통, 광고,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경제 주체들이 형성되어 강력한 네트워크 외부성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이후 새로운 디자인이 나와도 경쟁 업체들은 이미 확립된 네트워크와 경쟁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경로의존성은 지배적 디자인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 독점 관점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이유


자연독점이란 시장에서 하나의 기업이 가지는 대규모 시장 점유율이나 강력한 기술력 등으로 인해 다른 기업이 진입하기 어렵게 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런 경우, 자연적으로 해당 기업은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자연독점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당 기업은 더 이상 경쟁이 존재하지 않는 만큼 자유롭게 가격을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업은 고객에게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할 수 있어 수익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이유 중에 자연독점 관점에서 이야기하자면, 지배적 디자인은 시장에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가지는 기술적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결국 해당 기업이 시장에서 자연독점을 유지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즉,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면 해당 기업은 더욱 강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이 경쟁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 자연독점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정부의 규제 관점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이유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이유 중 하나는 정부 규제 관점에서 볼 때 경쟁 상황을 개선하고 시장을 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표준화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서는 정부의 규제와 표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부는 표준화를 통해 기업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며, 소비자 보호와 안전을 보장합니다. 지배적 디자인은 이러한 정부의 역할을 보완하면서도 기업들 사이의 협력과 산업 발전을 돕습니다.


또한, 지배적 디자인이 선택되는 것은 시장에서의 협력과 경쟁의 균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들이 경쟁을 방해하거나, 기술 혁신을 억제하거나, 소비자를 속이는 등의 부정한 행위를 할 경우, 정부는 이러한 기업들을 규제하고,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 컬러tv 표준, EU에서의 휴대폰 기술(GSM)




#지배적디자인 #정부규제 #수익체증 #자연독점 #퍼포먼스마케팅 #마케팅 #스타트업마케팅 #아샤그룹대표 #이은영 #광고마케팅 #퍼포먼스마케팅 #CRM마케팅 #데이터분석가 #마케팅전략 #리브랜드 #leebrand